건강

입 속에 이상이 없는데 혀가 아픈 이유, 구강작열감증후군 알아보기

뮤힐 2023. 11. 1. 09:44
반응형

입 속에 이상이 없는데 혀가 아픈 이유가 있습니다.

바로 '구강작열감증후군'입니다.

구강작열감증후군은 혀나 입 속에 뚜렷한 이상이 없는데도 혀가 화끈거리며, 얼얼한 느낌을 받는 질환입니다.

이번시간에는 구강작열감증후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구강작열감증후군이란?

구강작열감증후군(Burning Mouth Syndrome, BMS)은 입안에 지속적으로 불타오르는 듯한 통증이나 화끈거림을 느끼는 증상을 포함하는 신경학적 질환입니다.

이 증후군은 혀, 입술, 치은, 구강점막 등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불편함과 통증을 유발합니다.

특히 이 질환은 50대 이후의 폐경 이후의 여성에게서 많이 발생합니다.

구강작열감증후군의 원인

구강작열감증후군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까지 명확히 알려진 바가 없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환자의 약 60%는 혀와 상피에 있는 가느다란 신경섬유가 소실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로 인하여 통증, 온도 등에 의한 자극 전달에 이상이 생겨 통증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아래는 구강작열감증후군이 발생하는 몇 가지 가능성입니다.

1. 신경계 이상

구강 내의 신경 종착지에서 일어나는 신경계 이상이 통증이나 감각 이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2. 호르몬 변화

여성의 경우, 호르몬 수준의 변화가 구강작열감증후군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3. 스트레스 또는 정신적 요인

정신적인 스트레스, 불안, 우울 등이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4. 구강 내 기능 이상

치아나 치은의 문제, 구강내 조직의 염증, 구강 건조증 등이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구강 내 국소 자극, 흡연, 침샘 기능 저하 등이 증상을 악화하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구강작열감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는 다른 질환으로는 엽산 부족, 칸디다증, 비타민 B12 부족, 빈혈, 아연 부족, 당뇨, 갑상선 기능 저하, 알레르기 등이 있습니다.

 

구강작열감증후군의 증상

1. 작열감

입안의 특정 부위, 특히 혀에서 뜨거운 물을 마시거나 매운 음식을 먹은 것처럼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통증

작열감과 함께 구강 내부에서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부어오름 혹은 발적

입안의 특정 부위에서 점막이 붉게 변하거나 부어오를 수 있습니다.

4. 뚜렷하지 않은 손상

위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구강 내부에서는 시각적으로 뚜렷한 손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구강작열감의 진단

촉진 등으로 통증을 느끼는지 확인 이후 혈액검사 및 타액분비율 검사 등으로 구강 내에 통증과 작열감을 유발할 수 있는 요인들을 하나씩 제거한 후 구강통증을 일으킬만한 명확한 원인이 없을 때 진단합니다.

 

구강작열감증후군의 치료

치료는 기본적으로 원인을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원인을 찾기 어려운 경우,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치료법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1. 통증 관리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진통제나 특정 약물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신경마취제

신경계통을 억제하여 작열감을 완화할 수 있는 약물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3. 면역 조절제

면역계통을 조절하는 약물을 사용하여 작열감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4. 행동 치료

스트레스 관리법이나 행동 요법을 통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구강작열감증후군의 예방

구강작열감증후군을 예방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그 원인을 피하는 것입니다.

신체적인 원인이나 정신적인 스트레스 등을 관리하고,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또한 증상이 나타난다면 신속하게 병원에 방문하여 의사와의 상담을 통해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시간에는 구강작열감증후군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구강작열감증후군은 일반적으로 시간이 지나면 호전되는 경우가 많지만, 경우에 따라 증상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전문 의사와 상담하여 적절한 치료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